2008. 10. 10. 14:52

[질문]

하나투어 전문판매점 홈페이지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종류가  범용공템 홈페이지와 회원사 홈페이지 이렇게 2가지가 있더라구요http://www.hanacenter.net/app/default.asp
http://abc.hanatour.com/app/default.asp
http://help.hanatour.com/app/default.asp
이런 홈페이지들은 다 회원사 홈페이지인가요??  이런 식으로 홈페이지를 만들고 싶습니다. 범용공템은 제작이 쉽다고 하는데 어떤 사이트가 범용공템이고 회원사 홈페이지인지 잘 모르겠네여.. 두개를 보고 결정을 해야 할것 같은데
도움 부탁드릴께여
나투아 홈페이지 제작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ToTb의 IT 전문 컨설턴트입니다.
하나투어나 모두투어처럼 대형 여행사의 경우에는 범용공템의 형식의 템플릿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이런 범용공템 형식으로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하나투어나 모두투어의 전문판매대리점이 되어야 겠죠.
대리점의 권한에 따라서 2가지 방법으로 개발이 가능합니다.

1. 범용공템 제작방법

2. XML형식의 응용개발방법

하나투어를 기준으로 설명을 한다면
위의 범용공템방법은 하나투어에서 제공해 주는 모듈을 본인의 Web사이트에 아이프레임 형식으로 링크를 시켜서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하나투어에서 제공해주는 모듈을 수정할 수는 없습니다.

대신. 개발방법이 간단한 특징이 있어서 많은 여행사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xml형식의 응용개발방법은.. 하나투어쪽에서 제공해주는 xml을 프로그래밍상으로 해석을 해서.. 회원사에서 개발한 포멧을 통해서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아무래도 모듈에 대한 수정이 용의하지만, 해당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됩니다. 하지만, 경쟁사 대비 우수한 사이트를 만들수 있습니다.

위의 3가지 사이트는 모두 범용공템을 사용하여 개발한 사이트입니다.
범용공템에 관련된 부분은.. 하나투어와 계약한 후에.. 개발사에 담당자 연락처와 대리점 코드를 알려주시면, 개발사쪽에서 연락을 취해서 개발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xml형식은 일반적인 대리점 계약에 추가적인 옵션계약을 해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나투어 상품을 판매를 한다면 위의 2가지 방법 이외에는 개발을 할수가 없습니다.^^
이 방식이 아니라면 만약 개발이 이루어 진다고 하더라도 실시간 업데이트가 불가능하겠죠...

여행사 홈페이지를 만드는 방식은 일반적인 홈페이지나, 쇼핑몰을 만드는 방식과는 전혀 다릅니다. 범용공템에 대한 이해와, 각각의 모듈에 대한 운영방법을 인지하고 있는 개발회사만이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가져 갈수 있습니다.


Posted by ToTb
2008. 10. 6. 21:27

[질문]

현재 도예가 인데요.
제가 만든 도자기를 인터넷 쇼핑몰을 만들어 판매를 하고싶은데요
어떻게 해야하는지 절차가 상당히 복잡하네요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실분 계신가요?
현재 전 임대아파트에 살고있구요 집에서 직접 판매하려고 합니다.
헌데 아파트 측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들었어요  첫번째는 여기에 대해 설명부탁드려요
그리고. 추후 사업소재지를 변경할경우의 문제는 간단한가요? 나중에 작업장을 따로만들계획이 있어서요.사업자 등록에도 여러가지가 있던데 저같은경우는 어떤것으로 등록을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또한 나중에 쇼핑몰 구축을 할시에 저렴하고 안정성 높은곳은 어딘지도 알려주셨음 감사하겠습니다.
내공은 많이 걸었으니 꼭좀 부탁드립니다^^* 좋은하루되세요



[답변]

안녕하세요.     입니다.

1. 사업자 등록 변경건..
쇼핑몰을 운영하시기 위해서는 통신판매업을 추가를 해야합니다.
통신판매신고서와 사업자등록증 상에 쇼핑몰과 관련된 항목이 포함되어야 하구요.

2. 쇼핑몰의 가격.
쇼핑몰 가격의 차이가 큰 이유는 개발방법때문입니다.
미리 제작된 솔루션을 가지고 찍어내듯이 쇼핑몰을 제작할 경우에는 당연히.. 제작비용이 몇십만원 대로도 가능하구요.. 여기에 디자인 스킨을 입히는 개념이라면 100만원 미만대의 제작도 가능합니다. 여기엔 코더 개념의 스킨을 코딩하여 올리는 인력만 필요하겠죠.

500만원 이상의 견적금액을 부르는 업체라면, 이런 개념이 아니라 디자인과, 개발자가 투입이 되어서 실질적으로 귀사의 상황에 맞는 웹사이트 구축을 하는 방법이 대부분일듯 하구요. 기존에 구축한 솔루션을 활용하는 수준에서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000만원 이상의 견적금액이라면, 타 사와의 차별화 요인을 기획자가 분석하여 개발하고, 효율적인 사이트 운영이 가능하도록 독자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비용까지 포함됩니다.
물론 그 이상도 가능하구요..

초기에 저렴하게 진행하시는 것도 괜찮지만, 쇼핑몰쪽에서 지속적인 사업모델을 구상하고 계신다던지 온라인쪽에서 사업영역을 확대하실 계획이시라면 자체적인 솔루션 개발을 추천드립니다.
남들과 동일한 솔루션을 가지고 시장에 뛰어들게 되면, 같은 방법으로 경쟁업체들이 양성될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그때가 되면, 마케팅 이라는 요소로 승부를 걸어야 하는데. 레드오션을 만들 이유가 있을까요?..
기획부터, 디자인, 개발까지 전과정을 인력들이 작업을 해야 한다면.. 한명당 인건비용을 200으로 계산을 하고 1개월이라는 작업기간을 고려한다면.. 총 600만원이라는 견적이 나옵니다. 여기에 기간이 늘어나거나 기능이 더 추가가된다면 1000만원이라는 견적비용이 나올수 있습니다. 

즉.. 홈페이지 제작비용은.. 얼마만큼 투입이 되느냐.. 그리고 투입된 인력이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서 결정된 다고 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ToTb
2008. 9. 29. 16:36

[질문]

저희는 현재 면세 법인 사업자로 등록되어 있으며 이번에 새로이 품목을 추가하며서 쇼핑몰을 구축하려고 합니다. 취급품목은 국내산 및 수입 김치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1. 현재 면세법인사업자인 저희가 통신판매업을 추가할 경우 사업자 등록을 변경해야 하는지요?
   김치를 오프라인상에서 판매할 경우 비과세이나 이를 온라인 통신판매를 할 경우 과세로 바뀌어서
   사업자 등록을 정정해야 한다고 하는데 맞는지요?

2. 쇼핑몰 제작을 위해 여러 군데 알아보았는데 제시받은 가격이 차이가 커서 도무지 적정한 가격을
    알수가 없습니다. 믿을만한 업체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입니다.

1. 사업자 등록 변경건..
쇼핑몰을 운영하시기 위해서는 통신판매업을 추가를 해야합니다.
통신판매신고서와 사업자등록증 상에 쇼핑몰과 관련된 항목이 포함되어야 하구요.

2. 쇼핑몰의 가격.
쇼핑몰 가격의 차이가 큰 이유는 개발방법때문입니다.
미리 제작된 솔루션을 가지고 찍어내듯이 쇼핑몰을 제작할 경우에는 당연히.. 제작비용이 몇십만원 대로도 가능하구요.. 여기에 디자인 스킨을 입히는 개념이라면 100만원 미만대의 제작도 가능합니다. 여기엔 코더 개념의 스킨을 코딩하여 올리는 인력만 필요하겠죠.

500만원 이상의 견적금액을 부르는 업체라면, 이런 개념이 아니라 디자인과, 개발자가 투입이 되어서 실질적으로 귀사의 상황에 맞는 웹사이트 구축을 하는 방법이 대부분일듯 하구요. 기존에 구축한 솔루션을 활용하는 수준에서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000만원 이상의 견적금액이라면, 타 사와의 차별화 요인을 기획자가 분석하여 개발하고, 효율적인 사이트 운영이 가능하도록 독자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비용까지 포함됩니다.
물론 그 이상도 가능하구요..

초기에 저렴하게 진행하시는 것도 괜찮지만, 쇼핑몰쪽에서 지속적인 사업모델을 구상하고 계신다던지 온라인쪽에서 사업영역을 확대하실 계획이시라면 자체적인 솔루션 개발을 추천드립니다.
남들과 동일한 솔루션을 가지고 시장에 뛰어들게 되면, 같은 방법으로 경쟁업체들이 양성될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그때가 되면, 마케팅 이라는 요소로 승부를 걸어야 하는데. 레드오션을 만들 이유가 있을까요?..
기획부터, 디자인, 개발까지 전과정을 인력들이 작업을 해야 한다면.. 한명당 인건비용을 200으로 계산을 하고 1개월이라는 작업기간을 고려한다면.. 총 600만원이라는 견적이 나옵니다. 여기에 기간이 늘어나거나 기능이 더 추가가된다면 1000만원이라는 견적비용이 나올수 있습니다. 

즉.. 홈페이지 제작비용은.. 얼마만큼 투입이 되느냐.. 그리고 투입된 인력이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서 결정된 다고 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ToTb
2008. 9. 24. 16:24

[답변]

당사는 유리제품 가공해서 납품과 시공을 하고 있는 중소기업입니다. 
이번에 부분적 혹은 전체적인 ERP도입을 계획중에 있습니다.
이쪽 업무에 전문가가 없어 제가 개인적으로 알아보고 있는데, 저희 회사에서 우선 필요로 하는것은 생산된 제품을 건설현장에 시공을 할때의 현장관리와 제품생산관리 입니다. 그 다음 순위가 기타 경영전반에 관련된 부분입니다. 
시공하는 현장이 전국에 산재해 있다보니 저희 직원이 상주해서 관리를 못하는 상황이라 시공업체에서 매일 보내는 현장보고를 통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이 부분은 시공업체에서 인터넷으로 현장보고를 받아야 할 것 같고, 그래야 사무실에서 현장이 돌아가는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공을 하다보면 제작이 안되었거나, 잘 못 되었거나, 파손이 난 경우가 있는데 이런 생산/재고관리와 시공 관련한 내용도 필요하고요. 
제품 발주를 하면 생산에 들어가야 하는데, 발주를 쉽게 낼 수 있고 생산쪽에서는 발주내용을 기계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도 필요하고요.
여기까지가 우선 필요한 사항인데요. 이 후는 좀 더 생각해 봐야할 것 같습니다.
기술한 내용만보면 굳이 ERP가 아닌 일반 프로그램을 제작해서 써도 될 것 같긴한데, 제가 잘 몰라서 이렇게 원초적으로 주저리주저리 적었습니다. 
누구는 기존에 나와있는 제품을 커스터마이징해서 사용하라고도 하고, SMB를 알아보라고도 하는데 제가 잘 몰라서요.
어떻게 알아보면 좋을지 쉽게쉽게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입니다. 
제조업체의 ERP 프로그램이라....
동일한 제조분야라 하더라도 각각의 회사에 맞는 작업환경이라 에상됩니다.
물론 기존의 ERP 프로그램 중에서 제조업을 다룬 프로그램도 있을테지만, 현업상에서 표준에 맞춰진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된다면.. 실제 제조업무를 뒤늦게 들어온 프로그래밍에 맞춰야 되는 아이러니한 일이 벌어지겠죠...ERP는.. 기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자원관리 시스템입니다.
즉.. 회사에서 시스템상으로 관리가 필요한 모든 작업들을 하나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구현되어야 하는거겠죠.하지만, 기존에 나와있는 ERP 로써는.. 어느정도의 정형화된 틀만 나와있을 뿐입니다.
각 회사에 맞는 기준을 반영하게 된다는것도 쉽지가 않게 되는거죠.

일단. 추천 드리는 방식은..
1. 맞춤형 ERP 개발을 검토
2. IT 컨설턴트와 시스템 도입관련된 상담
3. Web기반 ERP 개발을 검토
이렇게 3가지 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데로.. 회계관리용 프로그램, 인사용 프로그램, 재고관리용 프로그램,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이렇게 각각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꺼라면 ERP의 의미가 없습니다.
회사의 실정에 맞는 ERP 개발을 위해서라도 2번의 컨설턴트와 상담을 꼭 해야하실듯 합니다. 시스템 도입은.. 초기 구축비용도 문제가 될 수도 있겠지만, 운영상에서 나타날수 있는 문제점이나.. 운영비용이 문제가 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구축이나 도입 이전에 전문가와 상담을 해서 시작을 하신다면, 그만큼의 시행착오를 줄일수 있겠죠.
ERP의 개발 방법만 하더라도.. Web기반 개발과 SI기반 개발로 크게 나뉘어 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Web기반 개발 방법은.. 인터넷만 연결된 환경이라면 회사의 모든 상황을 로그인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공장과 본사가 떨어져 있더라도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SI 기반의 경우에는 PC에 설치를 해야만 하고, 설치된 PC만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라.. 외부나 떨어져 있는 지점 및 공장에서는 사용하기가 힘든 상황입니다..
시스템 개발비용은.. 투입한 만큼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초기 개발비용이 저렴하다고 총 운영비용까지 저렴한 것은 아닙니다.

ERP 솔루션을 도입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이미 구축된 ERP솔루션을 도입하는 방법
더존ERP ,하나로ERP, UniERP등의 수많은 ERP솔루션이 있습니다.
일부의 특화된 환경에서의 ERP가 있긴 하지만, 회사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추가적인 기능을 추가하려 할 경우 커스트 마이징 비용이 제작비용의 몇배를 초과합니다.
제작된 제품을 바로 구입할 경우 가격대비 효율적인 측면은 좋습니다.

2) 솔루션 제작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회사의 상황에 맞게 커스트 마이징 하는방법
Web기반 솔루션업체와 Off기반 솔루션 업체로 나누어집니다.
비용적인 부분에서는 1번의 방법보다는 부담이 많이 되지만,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회사의 입장에 100% 근접하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ERP를 장기적으로 운영한다면 최상의 선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만큼의 기술력을 가진 회사에게 의뢰를 해야 할 것이구요. WebERP의 경우에는 협력업체나 본사, 지사 등의 어떤 장소에서도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상에서 간단한 인증절차를 통해서 회사에서 작업을 하는 환경 그대로 접목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작 가능한 업체가 드물고, 일반 off기반 솔루션보다 가격이 비싼 편입니다.

OffERP
의 경우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1번과 2번의 사이에 있습니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만 하고, 협력업체나 거래처에서 해당 ERP를 활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제작 견적에 대해서
인사/급여/회계/영업/생산/구매/자재 모든 부분에서의 부분제작이 가능합니다. 뿐만아니라 BOM, CRM, 영업관리 등 특화된 영역에서의 추가적인 제작도 가능합니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양식에 맞는 커스트 마이징 부분또한 webERP에서는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입비용의 경우에는 귀사에서 책정하고 있는 예산과 비슷한 정도의 견적이 예상이 됩니다. ERP라는 큰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는 부분적인 요소에서의 작업을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견적금액이 천차만별입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일반 SI기반의 ERP보다 몇배나 제작하기 힘들고 기술력이 필요한 Web기반의 ERP시스템을 최적화된 금액으로 맞춤제작해 드리겠습니다.

귀사의 환경에 맞는 ERP라면, 금액적인 부분이 아니라. 업무상의 효율성이나 최적화된 생산라인관리 등을 실현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ERP도입 이런부분을 고려해 보십시오.


1) 특화된 회사의 환경에 맞는 ERP인가?
제조업체의 경우 생산재고의 관리, 판매관리, 고객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많은 제조사에서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물류관리시스템(SCM)의 최적화도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2) Bom구성이 역방향, 정방향 가능한 ERP인가?
제조업체의 특성상 BOM의 역활이 중요하다고 판단이 됩니다.
만약 TV를 생산한다면 거기에 맞는 정방향 BOM요소들이 수많은 부품으로 존재할테고, 한대의 생산에 맞는 재고량 감소 및 생산량 증가 등의 요소들고 파악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3) 협력업체 및 제조사에서 귀사의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가?
 귀사에서만 사용하는 ERP시스템은 의미가 없습니다. 권한을 다르게 하여, 다른 모드에서 협력업체 및 제조사에서 귀사에서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서 생산량을 증가하는등의 Win-Win할 수 있는 부분을 ERP시스템의 도입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Off기반의 설치형 ERP라면, 제조사의 컴퓨터에 ERP를 설치해야 하고, 이를 운영한다는것은 현실상 불가능 하다고 판단이 됩니다.

4) MRP기반으로 재고관리 시스템을 안전재고, 적정재고, 자동발주 등의 관리가 가능한가?
안전재고, 적정재고를 바탕으로 자동발주 시스템이 구현이 되어, 필요한 량의 재고를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의 탑재야 말로 ERP의 핵심중 하나입니다. 이런 요소를 생산관리 차원에서 접근하여 프로그래밍 로직을 설계함으로써, 현장 상황에 맞는 실시간 재고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5) 생산라인의 관리를 실시간 처리하는것이 가능한가?
PDA나 노트북을 통해서 실시간 생산관리가 가능합니다. Web기반 ERP의 경우 인터넷 환경 어디에서든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생산현장에서 생산후에 생산된 시간 및 생산된 담당자, 생산 수량등의 간편한 기입을 통해서 완벽에 가까운 생산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언제까지 사무실에 설치된 컴퓨터에서만 생산관리를 운영할 수 있을까요?..
그 대안을 WebERP에서 제시해 드립니다.

6)불필요한 ERP기능까지 써야할까?
회계, 인사관리시스템을 따로 사용하고 계시다면, 고가의 ERP제작비용에서 해당 시스템을 개발하는 비용을 추가로 지불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WebERP에서는 귀사에 필요한 기능만 제안하여, 해당 기능을 중심으로 개발단가를 산정합니다.

7 )머리 아픈 ERP학습, 가능할까?
한글이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도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ERP라는 수백 수천배의 복잡한 솔루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사용자 교육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기획단계에서 부터, 해당 담당자의 요구가 반영이되는 ERP라면 별도의 교육이 필요없이, 매일매일 현장에서 적응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ERP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물론 메뉴얼도 제공해 드리구요..

8) 백업이 자유로운가?
절반 이상의 ERP 시스템이 백업에 비용이 들어갑니다. 또는 백업이 컴퓨터 상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해당되는 컴퓨터 문제 발생시에 데이터 베이스의 유실 우려가 있습니다.
이를 WebERP에서는 자동백업 시스템 기능지원과, 서버의 복합 백업으로 데이터의 유실을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백업 비용이 별도로 발생하지 않아서 경제적입니다.
일부의 ERP에서는 구축시에 저가에 공급을 하고, 백업비용을 무리하게 요구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씁니다.

9) 자회사 및 지사가 생긴다면?
기존 ERP라면, ERP를 다시 손봐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지도 모릅니다. 지사 및 자회사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커스트 마이징을 해야하고, 이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것입니다.
Web기반 ERP에서는 이런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코드값 부여만으로 간단하게 자회사 및 지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협력업체 및 제조사 관리도 간단한 코드값 부여만으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10) 외부 출장시에 데이터 필요하다면?
기존의 거의 모든 ERP에서는 불가능 합니다. 이를 Web기반 ERP라면 인터넷이 연결된 어디에서든 사무실과 동일한 환경에서의 ERP 운영이 가능합니다.

11) 보안 및 해킹의 우려는?
보안전문 업체의 안정적인 서버관리 및 4단계의 보안관제 시스템의로 해킹의 우려는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계정관리만으로 퇴사한 직원에 대한 권한 삭제 및 새로운 권한 부여가 가능합니다. 물론 접속자 및 사용자의 Log파일도 존재하기 때문에 내부직원의 정보유출 또한 감지가 가능합니다.

 

Posted by ToTb
2008. 9. 24. 16:14
[질문]

안녕하세요..작은 장사를 하고 있는데,,
전반적인 추세가 온,오프를 동시에 하지 않고는 갈수록 힘들어 지네요..
그래서, 힘들지만 쇼핑몰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컴퓨터를 조금 아는 친구들 한테 물어봐도 신통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작은 어떻게 하며, 가지수가 많은 만큼 순서를 어떻게 잡아 가는게 좋을지 궁굼합니다.
그리고, 향후 가지수의 추가가 가능한 걸로 만들고 싶습니다.
많은 고수님들의 견적과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입니다. 
어떤 사이템인지는 모르겠지만,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온라인을 확장하시려면, 몇가지 사항을 꼭 생각해 보셨으면 합니다.

◈ 재고관리
쇼핑몰을 만들고 운영을 하게 되면, 쇼핑몰에서의 재고부분을 채크하시게 될듯 합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재고관리 프로그램이 있다고 한다면, 중복해서 작업을 처리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예를들어 쇼핑몰에서 주문이 들어왔는데.. 방금 오프라인 매장에서 물건이 나가서 재고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그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합니다...그래서 반드시.. 재고관리 기능을 일원화 하여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야 합니다.

◈ 아이템의 특징
범용적인 쇼핑몰 솔루션들이 많이 시중에 나와있습니다..
문제는 범용적이라는데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쇼핑몰을 만들때 위의 다른 분들이 단 답변처럼.. 기존에 개발된 쇼핑몰 솔루션을 가지고 저렴한 방법으로 구축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범용적으로 구축된 쇼핑몰은.. 치명적인 여러가지 단점이 있을수 밖에 없습니다.
경쟁업체가 동일한 솔루션으로 더 최신 디자인으로 무장을 하고 시장진입을 해왔다면, 어떻게 대처를 하실까요?아마도 마케팅 경쟁을 통해서 해결해 나가셔야 할듯 합니다.
관리자 페이지에서 쓰는 기능보다 쓰지 않는 기능이 더 많아서, 위에 답변을 달아주신분 말처럼.. 학습을 해야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관리자 페이지는 손쉽게 쇼핑몰을 관리하기 위해서 만든 페이지입니다..
이를 학습까지 해야할 정도라면.. 원래의 목적과는 거리가 있겠죠...
물론.. 가격대비 효율적인 측면에서는 기존 솔루션이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특화된 아이템을 표현하기에는 과연 적합할까요?.... 해당 아이템에만 사용하는 기능이 있다면 어떨까요?... 신중히 고려해 보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 확장성.
확장성을 염두해 두고 계시다면, 기존 솔루션으로는 어쩔수가 없습니다.
솔루션을 사용하는 이유는 안정성 때문인데.. 커스트 마이징을 통한 확장을 진행하게 되면, 이 안정적인 장점이 더 이상 장점이 될수가 없습니다. 뿐만아니라, 타 시스템과의 연동이나.. 기존 재고관리와의 연동 부분도 쉽지가 않습니다..

◈ 상품수상품수가 많으면, 어떻게 다 입력을 하시고, 관리를 하실수 있을까요?
반면에 상품수가 너무 적으면, 디자인상으로 상품을 롤링한다던지 썸네일로 뿌려준다던지 하는 작업이 의미가 없어집니다.. 아이템의 특색에 맞는 디자인 콘티가 나올때 상품의 수를 반영하여 기획하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1만여개의 상품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상품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기획적으로도 다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상품수가 몇개 되지 않는 사이트보다 당연히 DB도 크고, 파일의 용량도 클수밖에 없습니다.
거기에 맞는 개발방법론이 다르겠죠...만약 1개의 상품에 사진을 5컷을 올리고, 컷당 200Kbyte 라 한다면.. 1개당 1M의 용량을 차지합니다.
1만개의 상품이라면 10G의 용량을 차지하겠죠... 여기에 썸네일이미지나, 상품이미지의 퀄리티를 높이게 된다면.. 20~30G 이상의 HDD용량을 보유하셔야 합니다.
당연히 호스팅으로는 불가능하구요...
서버 기반으로 개발을 해야합니다...
임대형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죠..^^

서버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더라도.. 1만개의 상품을 나열해서 보여주는데.. 일반적인 쇼핑몰과 같은 방법으로 개발될수는 없겠죠... 속도나 접근성 적인 측면에서도 대용량 DB설계나 중급이상의 사이트를 개발하는 개발방법론으로 개발을 진행해야만 합니다...

Posted by ToTb
2008. 9. 24. 15:21

[질문]

홈페이지를 타 업체에서 제작을 95%이상 완료를 한상태입니다..
하지만 하도 사람을 많이 속이고 거짓말투성이에 제작 기간 또한 기존 완료일 보다 4개월이상
초과되서 내용증명과 모든 방법을 써서 아무튼 여기까지 왔는데요.
왜사람들이 약속을 다 어기는 지 모르겠지만.. 홈페이지 완료가 되면 서버고 뭐고
정말 확실한 회사에 유지 보수를 맡기고 싶습니다. 그리고 비용또한 알고싶네요.
말하고싶은건  책임감 있는 회사였으면 좋겠습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입니다. 
왜 이런 않좋은 소식들이 많이 들려오는지 모르겠습니다.
대부분의 선량하고 성실한 회사들이.. 몇몇의 이런 회사들로 인해서 피해를 입는일 없었으면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개발회사가 유지보수까지 진행하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지금 상황에서 그 케이스를 가져가기에는 무리가 있을듯 하네요..

문제는, 개발된 환경입니다.
개발언어적인 문제로 PHP,ASP,JSP등의 언어로 개발을 진행하고, 그 언어에 따라서 유지보수의 가능여부가 결정이 될수도 있습니다. PHP로 개발된 소스를 ASP회사에서 유지보수를 할수는 없겠죠..^^

다른 문제는 개발방법론입니다.. 예를들어 제로보드를 가지고 웹사이트를 만들었다면, 손쉽게 결과물은 나오겠지만, 기능을 수정할수 있을까요?.. 엄청 힘들듯 합니다..^^; 모듈을 중심으로 조합을 해서 개발하는 방식이라면, 해당모듈을 활용할수 없을 가능성도 큽니다.. 즉.. 유지보수가 어려울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아마도, 유지보수 비용 또한, 수정을 거쳐야 되는 정도라면, 해당 개발방법론에 따라서 결정이 되는게 맞겠죠.단계별로 개발하는 개발방법론이라면, 소스코드상의 주석만 정확히 달려있으면,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소스 분석을 통해서 유지보수가 가능합니다.

개발사에서 곱게(?) 소스 코드를 넘겨줄까요?.
이 부분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개발과 운영은 다릅니다..
만약 개발사에서 계약상으로도, 소스를 넘겨주지 않는 계약이나, 해당 소스를 가지고 비즈니스 모델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추후에 수정에 관련된 문제가 될수도 있습니다.
혹시나 Look을 걸어서 넘겨줄수도 있구요...
이 부분은 계약시에 협의한 내용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달라질수 있습니다.
소스 수정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유지보수를 하기가 힘들겠죠..^^

유지보수 업체를 선정하는 기준이 궁금하시죠?...
1. 안정성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웹사이트를 운영하다가 유지보수 회사가 부도가 난다면 어떻게 될까요?..^^
다른 유지보수 회사를 또 찾아야겠죠... 원할한 업무진행과 효율적인 웹사이트 운영을 위해서라도 가장 주의해야 하셔야 할 부분입니다. 관공서쪽이나 대학교측과 거래를 하고 있는 회사라면 어느정도 안정성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

2. 기술력
개발회사에서 시행착오를 겪은 가장 큰 이유는 개발회사의 기술력 문제입니다. 그런 회사를 또 만날수는 없겠죠...^^ 1개월 걸리는 작업이라고 담당자가 판단을 했는데. 4개월이 걸리는 작업이라면, 그 담당자는 과연 기술력이 있을까요?.... 물론 아니겠죠... 사람이 하는 일인만큼 실수를 할수도 있겠지만, 아마도 1개월이라고 말했다면, 거기서 몇일정도의 차이가 날 정도로.. 근접한 예측이 가능해야 기술력이 있는 회사입니다.
또한 개발쪽인 측면에서도 현 사이트에 날개를 달아줄 수있는 개발이 가능한 회사라면, 계획하시는 사이트를 150%, 200%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수 있을듯 합니다.

3. 커뮤니케이션 능력
이거 수정해 주세요.. 라고 설명을 했는데.. 담당자가 이해를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주로 요청을 하는 분은. 전문인력이 아니기 때문에 설명을 하기가 힘이 듭니다..
예를들어 쇼핑몰에서 재고관리를 추가로 도입하고 싶은데.. 그걸 설명을 해야한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담당자가 쇼핑몰을 운영해 본 사람이라면, 많은 설명없이도 공감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그런 경험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그게 가능한 회사가 좋은 회사겠죠.

4. 컨설팅
웹 전문가가 아닌 이상.. 아무리 좋은 아이템을 가지고 사이트를 만들고 싶어도, 지금과 보다 훨씬 복잡한 시행착오를 거칠수 밖에 없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가진 컨설턴트라면, 한번이라도 시행착오를 줄여서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수가 있겠죠... 뿐만아니라.. 비즈니스 모델에 날개를 달아드리는것도 가능할듯 합니다.
Dreams come True.  이 정도면 전문가 마인드가 아닐까요..^^
고객이 꾸는 꿈. 현실로 만들어 주는 사람.... 그게 컨설턴트입니다.

5. 비전.
웹사이트가 5년뒤에 어떻게 바뀔까요?.. 아무도 예측할수 없을듯 합니다.
하지만, 그 회사의 비전이 있고, 5년뒤를 대처할 수 있는 비전이라면,
유지보수 맡길만 하지 않을까요?....^^
서로 Win-Win할 수 있는 비즈니스 관계.. 추천드립니다... 



Posted by ToTb
2008. 9. 24. 14:42

[질문]

자체홈페이지에서 책을 판매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현재 책 입출고와 재고관리를 엑셀로 작업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자체에서 이러한 기능을 넣을 수 있는지 궁금하구요
책 판매의 경우 일부책은 권한부여된 사람만 판매하고 싶습니다.
최소한에 비용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아시는 분은 알려주세요
 

[답변]

안녕하세요.   입니다. 
입출고와 재고관리를 관리자모드에서 할수 없을까 하는 고민을 하시네요..
물론 가능합 부분입니다.
지금 홈페이지가 어떤 방법으로 개발이 되어있으며, 어떻게 확장이 가능한지에 따라서 개발할 수 있는 방법론과 비용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1. 기존 홈페이지사용 + 입출고 및 재고관리 연동
기존 홈페이지에서 DB를 분석한 뒤에. 입출고 및 재고관리 시스템을 새롭게 개발하는 방법입니다.
기존 홈페이지의 상품테이블을 참조하여 개발하는 방식이라 비효율적이나.. 비용을 저렴하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효율적인 방법이라 추후 확장성 및 홈페이지의 활용성을 생각해 볼때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2. 기존홈페이지 사용 + 입출고 및 재고관리 도입
기존 홈페이지를 그냥 두고, 만들어진 입출고 및 재고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법입니다. 도입비용이 가장 적게 에상이 되지만, DB가 연계되지 않아서 관리자가 2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사용해야 합니다.

3. 입출고 및 재고관리 기능이 포함된 새 홈페이지 개발
가장 효율적이지만, 홈페이지 제작비용+입출고 및 재고관리 개발비용이 포함되어서 견적비용이 다소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회사의 업무프로세스에 맞게 웹사이트를 개발할수가 있고, 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천드리는 방법입니다. 최근 구축되는 쇼핑몰 계열의 웹사이트는 이와 같은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컨설턴트로써 제 예측은...
신규적인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그 관리자모드를 강화함으로써 생각하고 계시는 기능을 표현할수 있을듯 합니다.
특히나 도서의 경우, ISBN코드나 바코드가 반드시 부착이 되어있기때문에, POS나 SCM방식의 재고관리를 통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하는것이 회사 업무 프로세스를 긍정적으로 바꿀수 있는 원동력이 될꺼라 생각됩니다.
또한 효율적인 운영으로 인해서 경쟁사 대비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화된 운영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추가적으로.. 바코드 시스템을 활용한 재고관리라든지.. 자동수발주를 기반으로한 MRP 시스템 등의 도입 또한 고려를 해보셔야 합니다. 


Posted by ToTb
2008. 9. 24. 14:38

[질문]

지금 홈페이지 관리 해주는 업체가 있는데....저희가 서버가 계속 다운 되고 그래서
관리 업체에 상담을 해보니...서버를 사야된다고 하네요?더좋은걸루 단독서버를 구입하라는데...
가격이 꾀 비싸더라구요.. 그래서 다른 업체를 알아볼려구하는데~
홈페이지 디자인하구 서버도 바꿔야 되는건지...또 비용도 단독서버 구입시 비용보다 많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입니다. 
지금 구축된 홈페이지가 어떤 방법으로 구축이 되어있나요?... 

포털사이트를 만드는 방법과 일반 회사사이트를 만드는 방법은 다릅니다.
만약에 일반 회사사이트를 만드는 방법으로 포털사이트를 개발하게 된다면, 겉으로 보기에는 포털사이트 처럼 보이겠지만, 실질적으로 사용을 해 보시면 그 차이를 쉽게 느낄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몇명 접속을 하지 않았는데도 웹사이트가 느려진다던지, 트레픽이 이유없이 많이 나온다던지 하는 부분이 있겠죠..
그래서 전문적인 웹사이트는 그 특성에 맞는 개발방법론을 선택해야 합니다.

포털사이트라면, 이미지를 최소화 시키고, 표의 경우에도 모서리 처리를 중심으로한 분할 코딩이라든지, DIV형식의 웹표준화에 근접한 개발을 진행해야 그 효율성을 높일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지금 구축된 홈페이지의 개발방법론을 채크해 보셔야 합니다.
동시접속자 및 하루 접속자.. 그리고 페이지뷰 및 각 페이지별 평균 용량등에 대한 채크도 해보셔야 정확한 수치가 나올수가 있습니다..  서버가 매번 다운이 되는 정도의 심각한 상황이 사실이라면 그에 대한 대응을 하는것이 맞겠지만, 서버판매를 목적으로 나온 답변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지금 단독서버가 아닌 호스팅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보통 호스팅의 경우 적게는 50개에서 많게는 500여개까지 웹사이트를 한서버에 넣고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다른 사이트들과 서버의 자원을 공유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트레픽이 높은 사이트의 경우 이런 호스팅 방법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디자인을 바꾸시고, 리뉴얼을 계획 중이시라면.. 크게 문제가 없으시다면,
개발방법을 점검하셔서 최적화된 구성으로 효율적인 운영을 하셔야 겠죠...

어떤 서버를 알아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서버의 경우.. 틀에 해당하는 서버가 있고, 거기에 CPU, 메모리, HDD, Power등의 장비를 얼마나 좋은성능을 가진 장비를 쓰느냐에 따라 실제 가격이 결정이 됩니다.
예를들어 HP360 G5의 경우.. 최저가로는 120에서 최고가로는 800만원 정도의 가격비교사이트에서의 결과를 보실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시면 120의 경우에는 CPU기본포함에 HDD제외, 메모리 1G 인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800만원의 경우에는 CPU가 2개에 3.4G이상의 속도를 가진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그래서 가격 차이가 날수밖에 없죠..

서버의 메이커여부에 따라서도 많이 차이가 납니다. 정품서버에 해당하는 메이커서버는 아무래도 고가의 서버가 많고, 조립형이나 중저가 브랜드의 서버는 가격이 훨씬 저렴합니다.
어떤 장비를 쓰느냐는 어떤 서비스를 웹에서 진행하시느냐에 따라 달라질수 밖에 없습니다.

추후 확장을 고려해서.. 서버를 도입하시더라도. 사용자가 지금보다 훨씬 많아져서 몇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하셔야 할때라면, 네트워크에 대한 설계 및 로드벨런싱등의 요소에서도 정밀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Posted by ToTb
2008. 9. 19. 00:43

[질문]

자동차 부품을 판매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이전에 고도몰을 사용하여 쇼핑몰 형식으로 자동차 부품을 판매할수 있도록 구축을 했었습니다.
관리자 페이지가 너무 어렵고, 재고관리가 전혀 이루어 지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주위 사람들에게 여기저기 물어 보니, 솔루션으로 제작된 사이트가 아니라 주문형으로 제작을 한다면,
문제가 개선될 수 있을꺼라고 하네요..

자동차 부품이 수량도 많고, 재고량도 많은 편이라.. 바코드라던지 RF형식의 재고관리를 가져갈수 있었으면 합니다. 또, 쇼핑몰에서 현재재고 수량을 정확히 파악해서.. 재고가 없는 상품의 주문이 않되게 한다던지.. 재고 수량이 없을때는 관리자가 쉽게 파악을 해서 공장에 주문을 도와준다던지 하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내공 많이 걸께요 도와주세요

[답변]
안녕하세요. 
 입니다.
일반적인 재고관리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을듯 합니다.
주위 분들이 이야기 하시는데로 주문형으로 제작을 해야할듯 합니다.
기존의 쇼핑몰 솔루션 형태는. 범용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제작이 된 경우라,
지금과 같이 특화된 요소에서는 활용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최적화된 업무프로세스를 가져가야함에도 불구하고, 솔루션에 회사 업무프로세스를 맞춰야 하는 아이러니한 경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쇼핑몰에서 재고가 자동으로 파악이 되고 : 재고관리 시스템
바코드나 RF를 사용하여 실시간 재고 채크가 가능하고 : POS
재고량 부족시에 자동발주가 가능하고, :MRP
협력업체를 통해서 자동발주를 지원하고, : SCM
등의 요소를 과연 얼마나 귀사의 환경에 맞게끔 구성하여 개발하느냐가 관건인듯 합니다.

범용적인 시스템은 한계가 있습니다.
성장하는 회사의 시스템을 이런 범용 시스템에 맞추기 보다는 전문가를 통한 컨설팅을 진행해보시고,
회사 업무프로세스에 최적화된 방법론을 고민해 보시는건 어떨까요?...



Posted by ToTb
2008. 9. 10. 19:07

[질문]

지금 의류 사이트를 처음 운영하는데요
웹관리는 카페 24라는 곳에서 하고 있고
배송이나 주문 관리는 B-TOP 이라는 프로그램을쓰고 있습니다.
제가 원하는건 웹과 배송,재고관리를 한번에 할수 있는 프로그램을 원합니다.
추천부탁드리고 어떻게 하면 잘 할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프로그램은 유료여도 상관없습니다.
제발좀 알려주세요...ㅠㅠ
한가지더는 물건 배송 에서 바코드 작업과 동시에 재고 확인이 되는 프로그램이면
아주 좋겠습니다.
내공 많이 걸께요 도와주세요

[답변]
안녕하세요. 
 입니다.
쇼핑몰에서 재고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지식IN에서 가장 궁금해 하시는 질문에 대한 랭킹 선정을 한다면 10위 안에 들어갈 만큼 자주접하는 질문입니다.^^

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기성품으로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까페24에서 제작된 PHP 계열로 추정되는 의류 사이트와
B-top이라는 배송 주문관리 시스템
그리고 재고관리를 추가한다면..
관리자분께서.. 사용을 해야 하는 프로그램이 계속 늘어나는 상황인거죠...
그래서 요즈음에 개발되는 쇼핑몰의 경우...
재고관리는 물론 SCM기능까지 포함하여 사이트를 제작하기도 합니다.
당연히 바코드 작업과 동시에 재고가 확인되는 POS 부분도 가능한 거죠..
이런 프로그램들은 정형화 되어있지가 않습니다..
사업분야별로 특징이 다르고, 상품에 대한 운영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재고관리나, POS등의 프로그램도 일치할수가 없습니다. 의류분야라 하더라도 구체적으로 어떤 상품을 어떤 방식으로 운영하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질수 밖에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말씀드리면. 기존 프로그램이 아닌 독자적인 개발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문제는 웹사이트가 아니라 웹사이트 안에 재고관리나 POS등의 기능을 개발할수 있는 개발사가 흔하지 않다는 부분입니다. 또한 있다고 하더라도, 기존에 개발되어있는 포멧에서 일부 수정을 통해서 배포하는 방식이라, 추후 기능추가라든지, 확장 부분의 제약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내부인력을 두어서 프로젝트를 진행할수도 없는 부분이죠..
일단, 전문적인 컨설팅을 추천드립니다.. 회사 내부적인 업무프로세스를 정확히 분석해 본다면,
지금 생각하고 계신 문제점 뿐만아니라, 더 나은 개선방향들도 찾을수 있을듯 합니다..
예상비용과 개발기간, 개발방법, 업체 추천 등의 기본적인 것도 가능하겠죠...


Posted by ToTb